쇼핑몰 프로젝트 세팅을 하다가 -D (npm에서의 --save-dev) option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 찾아 보던 중
yarn 과 npm에서의 사용법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.
먼저, -D option 이란
모듈을 설치할 때 package.json 내의 devDependencies 항목에 설치한 모듈과 버전을 넣는 것을 뜻한다.
npm의 경우,
-D, --save-dev 명령어를 통해 설치 할 수 있는 반면
yarn의 경우,
--dev, -D 명령어를 통해 설치 할 수 있다.
이외에,
npm 에서는 -P 명령어를 통해 dependencies 항목에 설치한 모듈과 버전을 넣을 수 있는 반면
yarn 에서는 -P 명령어를 사용할 경우 peerDependencies 항목에 설치한 모듈과 버전을 넣을 수 있는 것 처럼
유사하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.
참조 :
반응형
'Web 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WebFrontend ] styled-components의 동작방식을 통한 호이스팅의 원리 이해 (0) | 2023.04.20 |
---|---|
리덕스 툴킷(Redux Toolkit) 설정 기본 가이드: 설치부터 사용까지 단계별 정리 (0) | 2023.01.05 |
Tailwindcss / Customizing-colors (0) | 2022.12.03 |